SPSS 통계프로그램 : 척도 (명목척도, 서열척도, 동간척도, 비율척도)
척도(Scale)란?
자료가 수집될 때 관찰된 현상에 하나의 값을 할당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측정의 수준을 척도라고 한다.
척도는 명목척도, 서열척도, 동간척도, 비율척도로 나뉘는데 형태에 따라 범주형 데이터와, 연속형 데이터로 나뉜다.
범주형 데이터 : 명목척도, 서열척도
연속형 데이터 : 동간척도, 비율척도
명목척도(Nominal scale)
◆특성을 분류하거나 확인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측정 방법 (배경변인)
예) 귀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① 남 ② 여
서열척도(Ordinal scale)
◆속성간의 순서(서열) 관계를 밝혀주는 측정방법 (선호도 조사)
예) 귀하의 세게 구입 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의 순서를 기입해 주십시오.
동간척도(interval scale)
◆속성에 대한 순위를 부여하되 순위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측정방법 (설문지)
예) 평소 환경문제를 심각하다고 느끼십니까? ①매우 그렇다 ② 그저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아니다 ⑤ 전혀 아니다
특징: 임의의 영점과 임의 단위를 지니고 있고 덧셈은 가능하나 곱셈은 성립하지 않는다.
비율척도(ratio scale)
◆측정값 사이의 비율계산이 가능한 척도
예) 귀하의 나이는 몇살입니까? ( )세
특징: 절대영점과 절대 임의 단위를 지니며, 덧셈 곱셈이 모두 적용됨
* 임의 염점과 절대영점의 차이를 어려워하고 그에 따른 곱셈 법칙이 성립하지 않는 동간척도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번 더 짚고 넘어갈게요
절대영점과 임의영점의 차이는 글자 그대로 절대적인 0과 임의로 정한 0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0도씨'라고 하는 0의 온도는 절대적인 0이 아닌 현세계에서 우리가 정한 약속이죠.
반대로 우리가 일을 한다고 할 때 시간이 얼마나 걸렸는지 체크할 수 있죠? 그렇지만 우리가 일을 하지 않았다면 그것은 임의 0의 개념이 아닌 아예 가치가 없는 절대 0의 개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0이라는 가치가 부여되면 임의영점의 성격을 가지는 동간척도이며, 0이라는 가치가 없다는 것은 절대영점의 개념을 가지는 비율척도라고 볼 수 있겠죠!
그렇다면! 곱셈법칙이 허용되지 않는 이유 역시 설명이 되는데요!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임의영점만 놓고 본다면 곱셈처럼 보일 수 있지만 절대영점에서 보면 임의영점의 수치는 곱셈이 아닌 덧셈으로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설명이 충분했는지 모르지만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