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프로그램 : 가설(Hypothesis) 귀무가설(영가설), 연구가설(대립가설)
: 가설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바다 한가운데에서 하늘은 잔뜩 구름으로 뒤덮어 있어 별 하나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나침판도 없고, 등대나 불빛도 보이지 않아 방향을 전혀 알 수 없는데 지도만 가지고 목적지인 부산항으로 가야만 한다. 이런 경우 배를 운전하는 선장의 입장에서 무척 고민을 하고 있을 것이다. 우리 영역에서 가설이라는 것이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배 한 척이 나침판이나 별자리나 불빛을 보고 방향을 잡아가는 것과 같이 연구의 방향을 결정하여 그를 검정하는 것이다.
가설 결정은 다양한 선행연구를 통하거나 연구자의 경험에 의하거나 또는 전문가의 조언에 의하여 결정된다. 학술논문은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 또는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이론에 대입하는 귀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포츠과학에서는 주로 전자인 연역법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 다시 말해 가설이란 실증적인 증명에 앞서 세우는 잠정적인 진술이며, 차후에 논리적으로 검정될 수 있는 명제로 연구결과에 따라 기각이나 수정될 수 있다.
가설의 종류
1) 귀무가설(영가설, null hypothesis)
: 통계량의 차이는 단지 우연의 법칙에서 나온 표본추출오차로 생긴 정도로 통계치가 제공하는 확률의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 즉 두 변수간의 관계가 없다 또는 차이가 없다는 부정적 형태로 진술하는 가설이다.
예를 들어 운동과 식이(매 식사시 통닭 한 마리)를 15일간 처치한 실험 A집단과 운동과 김치(매 식사 시 반찬)를 같은 기간 처치한 실험 B집단의 체지방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두 집단의 체지방을 검정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 검정을 한다.
2) 연구가설(상대가설, 대립가설 alternative hypothesis or Research hypothesis)
: 통계량의 차이는 표본이 대표하는 모집단의 모수와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진술로 변수간의 관계나 차이를 긍정적인 형태로 진술하는 가설이다. 논리적 대안으로써 검정하고자 하는 연상에 관한 예측이다.
-과거에는 귀무가설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요즘 논문에서는 이 대립가설을 많이 이용한다.
귀무가설에서 사용한 같은 예를 적용한다면 두 집단 간의 체지방이 차이가 있다. 다른 표현으로 '실험 B집단이 실험 A집단보다 체지방이 감소했을 것이다' 라고 연구가설을 내린 것이다.